신청공고
수행기관(2월말)
대상자 선정
수행기관(3월)
오리엔테이션 및 체크카드 발급
수행기관, 청년(3월)
매월 구직활동보고서 확인 후,
수당 지급
수행기관, 청년(4월~)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전남 청년 구직직활동 수당지원 |
- | 도내 미취업 청년(만18~34세) 구직활동비(300만원) 지원 |
모집공고
중소조선연구원
(www.rims.re.kr)
(퇴직자)심사평가
(기업)사전검토
평가위원회
(퇴직자)기업매칭
(기업)현장평가
중소조선연구원, 평가위원회
(퇴직자)면접․채용
(기업)기업선정
지원자-기업, 중소조선연구원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채용인원 및 지원기간 확대 |
30명(8개월 지원) '18. 7월~'19. 2월 |
기존 30명 4개월 추가지원 '19. 3월~'19. 6월 20명 신규선발(12개월 지원) |
플랫폼 접속
예비 또는 초기 창업자
창업정보 검색 및 창업 상담
예비 또는 초기 창업자
전문가 1:1 매칭
추진기관
맞춤형 컨설팅 지원
전문가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창업지원 종합 플랫폼 운영 |
- | 다양한 창업정보 및 커뮤니티 공간 등 제공 상담을 통한 1:1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 지원 |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사업비 확대 및 양식품목 가공 장비 지원 |
개소당 50백만원 양식시설 및 장비지원 |
개소당 100백만원 이내 양식품목의 가공장비 포함 |
사업설명회
전남문화관광재단(1월)
운영기관 공모
전남문화관광재단(1~2월)
사업추진
운영기관(3~11월)
현장평가단 운영
전남문화관광재단(3~11월)
평가 및 정산
전남문화관광재단(12월)
신청·접수
시군·수행기관↔참여자
참여대상 선정 및 심사
시군, 도
교육 및 활동실시
시군·수행기관
만족도 조사 및 자체평가
도시군·수행기관↔참여자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보조금 인상 | 월 22만원(시장형) | 월 24만원(시장형) |
사업유형 확대 | 3개 유형 (공익활동, 시장형, 인력파견형) |
4개 유형(사회서비스 추가) (공익활동, 사회서비스형, 시장형, 인력파견형) |
사업량 확대 | 전체 31,814명 | 전체 40,355명(증 8,541) |
1단계
읍면동,국민연금공단
신청서 작성․상담
2단계
읍면동,국민연금공단
신청서 접수처리
3단계
시군(통합조사관리팀)
조사
4단계
시군(사업과)
수급자 결정 통보·지급
5단계
시군(사업과)
연금 변동관리
6단계
시군(사업과)
부당이득 환수 관리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지급액 인상 | 최고 지급액 : 250천원 | 최고 지급액 : 300천원 |
추진계획 수립 및 신청접수
시군 ‣ 도
서면심사
외부 평가단 평가 4~5개팀 선정
사업추진
교육 및 컨설팅
사후관리
창업경진대회 참여 등 지속관리
주요내용 | 종전 | 변경 |
---|---|---|
경력단절여성의 창업 활동 촉진 | 지원 없음 | 역량교육 및 컨설팅 창업경진대회 지원 |
프로그램 | 대상 | 내용 |
---|---|---|
성취 | 구직자 전체 | 취업의욕 증진, 취업정보 수집, 지원서류 작성법, 면접 실습 등 |
올라 | 취약 청년층(NEET) | 마음열기, 마음모으기(협력), 의사소통 및 생애설계와 비전수립 등 |
WIND | 여성결혼이민자 | 한국의 취업세계에 대한 이해, 외국인 구직자로서 자존감 향상, 직장생활에 대한 이해 등 |
HI | 고졸청년층 | 고졸청년층의 자기탐색, 일자리탐색, 구직기술 수준 제고 |
청년취업역량 | 19∼34세 청년구직자 | 역량기반 채용관행에 적합한 구직기술강화 및 역량개발계획 수립 |
행복내일 | 취업취약계층 | 의욕강화와 자신감 향상, 자기진단과 생애설계, 취업준비와 구직기술 |
직업행복 | 출소예정자 | 마음열기, 의사소통, 직업탐색, 직업생활ㆍ예절, 구직기술 습득, 행복한 내일설계 |
CAP+ | 15~29세 청년 구직자 | 진로결정을 위한 직업탐색, 강점 강화, 면접 실습 등 |
취업희망 | 취약계층 구직자 | 자존감 회복을 위한 활동, 자신감 향상, 근로의욕 증진, 효과적 의사소통 등 |
성실 | 고령 구직자 | 화 다스리기,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방법, 대인관계, 구직기술 등 |
주부재취업설계 | 주부 등 경력단절여성 | 재취업을 위한 직종 선정, 셀프마케팅 등 |
제대군인 (V-TAP) | 제대군인 | 전직준비 및 동기부여, 직업세계의 이해, 제대군인 적합직종 탐색 및 전직계획 등 |
생산직 퇴직설계 | 베이비부머 퇴직예정자 | 퇴직에 대한 인식전환 퇴직 준비와 인생 설계 |
사무직 퇴직설계 | 베이비부머 퇴직예정자 | 퇴직에 대한 인식 전환 퇴직이후 경력설계 및 생활설계 |
구분 | 프로그램명 | 내용 |
---|---|---|
취업의욕 | 행복한 대화 이끌기 | 효과적인 대화법 익히기, 화 다스리는 법 익히기 등 |
취업 어려움 극복하기 | 생각 가다듬기, SWOT 분석 등 | |
나를 이해하기 | 직업가치탐색, 장점 및 보유능력 확인, 경력기술서 작성 등 | |
기초직업능력 | 대인관계능력향상 | 팀워크, 리더십, 갈등관리, 협상능력, 고객서비스 능력 |
의사소통능력향상 | 문서이해능력, 타인 의견 경청능력, 대화법, 전화사용법 등 | |
자기개발능력향상 | 흥미ㆍ적성 이해, 자신의 역할 이해, 자기관리, 경력개발관리 등 | |
직업윤리 | 근면성, 정직성, 성실성, 책임감, 봉사정신, 준법성, 직장예절 등 | |
구직기술 | 취업목표 정하기 | 의사결정과정 간접 체험하기, 합리적 경력개발 목표ㆍ실천계획 수립하기 등 |
멋진 이력서ㆍ자기소개서 작성하기 | 이력서·자기소개서 관련 내용 총집합 (참여학습) | |
면접기술 습득하기 Ⅰ | 면접기술 관련 총집합 (참여중심 진행) | |
면접기술 습득하기 Ⅱ | 실전 모의면접 | |
취업전략 세우기 | 셀프마케팅, 일자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는 다양한 방법 익히기 (구직망 구축, 사전탐방 등) | |
기타 | 커리나비*(부모를 위한 자녀진로지도 프로그램) | 초ㆍ중ㆍ고교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미래 직업설계, 직업관 형성 등을 지도 |
구분 | 프로그램명 | 내용 |
---|---|---|
구직기술 | 취업에 성공하는 이력서ㆍ자기소개서 | 성공적인 취업준비 전략, 이력서·자기소개서 작성요령 등 |
취업에 성공하는 면접요령 | 면접의 중요성, 면접의 종류, 면접준비 전략, 면접최종 점검 등 | |
성공하는 취업정보 수집 | 고용시장 동향, 효과적인 취업ㆍ직업정보 수집방법, 허위 구인광고 대처 등 | |
여성ㆍ주부를 위한 취업특강 | 여성, 주부의 취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 | |
고령자를 위한 취업특강 | 고령자 취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 | |
기타 | 직업심리검사와 직업선택 | 직업심리검사 절차ㆍ방법, 직업탐색ㆍ선택에 도움이 되는 검사 등 |
근로기준법 | 근로기준법 이해, 임금·근로시간, 부당해고·구제 등 | |
자녀진로지도 | 부모 돌아보기, 변화하는 직업세계 이해, 진로지도 포인트 등 |
프로그램명 | 내용 | 대상구분 |
---|---|---|
행복한 마음탐색 | 스트레스 진단검사 및 스트레스 관리방법 학습 | 양육 등 사유로 조건부과 제외된 기초생활수급자 |
행복한 생애설계 | 자신의 자원과 힘을 발견 및 강점에 대한 긍정적 관점전환 | |
행복한 취업준비1 | 경력단절 장애요소 탐색, 경력장애 극복 대안 탐색 | |
행복한 취업준비2 | 장애요소 시기별, 대안별 극복과정 수립, 단계별 경력설계도 완성 | |
내일을 위한 나의 일 | 일에 대한 태도 점검 및 일의 긍정적 의미 확인 | 저소득 기초생활수급자 |
내일을 위한 생애설계 | 심리적지지 가능한 자원 안내 탈수급 후 제도적 지원 및 신용회복 지원 |
|
내일을 위한 나의 경력 | 더나은 일자리 이동 사례 탐색 및 경력설계 지원 | |
내일을 위한 일자리정보 | 채용정보 탐색방법 등 취업성공전략 탐색 |
구직자 | 구인자 | |
---|---|---|
고용터 방문 및 워크넷으로 신청, 기초상담 | - 고용센터 이용목적 파악 - 기본적인 인적사항 파악 - 구직신청서 기재요령 설명 |
- 고용센터 방문목적 파악 - 기본적인 회사개요 파악 - 구인신청서 기재요령 설명 |
신청수리 | - 구직 신청내용이 법령에 위배 혹은 기재누락 및 허위기재사항 확인·검토 | - 구인 신청내용이 법령에 위배되지 않고 근로조건에 문제가 없을 경우 수리 - 기재누락, 허위기재사항 확인 |
상담(워크넷입력·인증, 정보제공) | - 구직신청 전산입력 - 구직자 설문지 등을 통한 유형별 직업상담 - 구직자 개인별 맞춤정보 제공 - 구직상담시 현 고용동향 안내 - 각종 유효구인정보 제공 |
- 구인신청 전산입력 - 구인자의 구체적 정보 검토 - 구인내용에 대한 상담 및 구직자 유형별 특성 설명 - 각종 유효구직정보 제공 |
직업 또는 구직자의 알선 | - 전산망을 통한 구인·구직자 연결 - 적합한 구인·구직자가 없을 경우 재방문 요청 또는 전화, FAX, E-mail을 통한 소개 - 통근지역내 우선 소개 - 각종 고용장려금 및 기업서비스 안내 |
|
구인·구직자와 개별 면접 | - 알선장 제공 |
- 알선자 명단 및 제공 |
취업 또는 채용여부 확인 | 미채용시 재알선, 사후관리 |
사업공고
(참여기관모집)
사업심사 및 사업자 선정
위탁계약(약정)체결
사업운영
사업현황관리 및 운영경비지급
사업결과보고 및 사업평가
사업명 | 사업내용 | 수탁(대상)기관 |
---|---|---|
노숙인 취업지원사업 | 노숙인(거리ㆍ쪽방)에 대한 전담 취업알선 | 노숙인시설(노숙인복지시설 및 노숙인종합지원센터) |
건설인력 취업지원사업 | 건설 근로자에 대한 전담 취업알선 | 유ㆍ무료 직업소개소 등 |
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사업 | 경력단절여성,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 및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| 여성새로일하기센터 |
채용박람회 | 구인ㆍ구직자에게 직접 만남의 장을 제공 | 행사개최 능력을 갖춘 유·무료직업소개사업자 |
심리안정지원 프로그램 | 고용센터 內 실직충격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민간에 위탁 | 프로그램 운영경험이 있는 사업자 |
집단상담 프로그램 | 고용센터 內 집단상담 프로그램(CAPㆍ취업희망ㆍ성실 등) 운영을 민간에 위탁 | 프로그램 운영경험이 있는 사업자 |
구분 | 1단계(상담․진단) | 2단계(직업능력향상) | 3단계(취업알선) |
---|---|---|---|
패키지Ⅰ | -3주~1개월 |
-최장 8개월 |
-최장 3개월 |
패키지Ⅱ | -1주~1개월 |
-최장 8개월 |
-최장 3개월 |
신청서 제출
대상자→고용센터, 인터넷 홈페이지
참여요건확인
고용센터
참여확정통보
고용센터
단계별 프로그램 진행
고용센터, 위탁기관
취업
참여자
취업성공수당 지급
고용센터
피보험기간 연령 | 1년 미만 | 1년 이상 3년 미만 |
3년 이상 5년 미만 |
5년 이상 10년 미만 |
10년 이상 |
---|---|---|---|---|---|
30세 미만 | 90일 | 90일 | 120일 | 150일 | 180일 |
30세 이상~50세 미만 | 90일 | 120일 | 150일 | 180일 | 210일 |
50세 이상 및 장애인 | 90일 | 15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
신고서 제출
수급자
접수 및 구직활동확인(1~4주)
고용센터
급여지급 및 취업상담
고용센터
구분 | 지원 요건 | 지원 내용 |
---|---|---|
조기재취업 수당 | ㆍ대기기간(실업신고일부터 7일)이 지난 후 소정급여일수 1/2 이상 남기고 재취업한 경우로서, 12개월 이상 계속하여 고용된(사업을 영위한) 경우 | ㆍ잔여 소정급여일수의 1/2 지급 |
직업능력 개발수당 | ㆍ직업안정기관장이 지시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을 때 | ㆍ실제로 훈련을 받은 날 1일 5,800원 |
광역구직 활 동 비 | ㆍ직업안정기관의 소개에 따라 거주지에서 5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구직활동을 한 때 | ㆍ구직활동을 한 날에 소요된 교통비 및 숙박료 지급 |
이주비 | ㆍ취업하거나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지시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기 위하여 이사를 한 때 | ㆍ5톤까지 실비 ㆍ5톤 초과시 : 5톤까지 실비 + 7.5톤까지 실비의 50% |
청구서 제출
수급자
접수 및 확인·검토
고용센터
수당지급
고용센터
1단계
고용센터
실업크레딧 제도 안내
2단계
신청자
보험료 지원금 신청
3단계
연금공단
지원여부 확인/결정
4단계
연금공단
보험료 부과
5단계
신청자
본인부담 보험료 납부
6단계
연금공단
보험료 정산
사업공고
고용부
사업신청 및 적정성 심사
훈련기관 심평원
훈련과정 인정
고용부 (지방관서)
훈련상담 및 지원대상 선발·위탁
고용부 (지방관서)
훈련실시
훈련기관
훈련비 및 훈련장려금 지급
고용부 (지방관서)
평가
심평원
사업공고
고용부
사업신청 및 적정성 심사
훈련기관 심평원
훈련과정 인정
고용부 (지방관서)
계좌발급 신청
구직자
훈련상담 및 계좌발급
고용부(지방관서)
훈련실시
훈련기관
훈련비 및 훈련장려금지급
고용부(지방관서)
평가
심평원
대부신청
신청자
대부여부확정
근로복지공단
대부약정체결
신청자, 금융기관
금융기관 대출
금융기관, 신청자
사업공고
고용부
사업신청 및 적정성 심사
훈련기관 심평원
훈련기관 선정 공고
고용부
훈련대상 선발・위탁
훈련기관,고용부(지방관서)
훈련실시
훈련기관서
훈련비 및 훈련장려금 지급
고용부 (지방관서)
훈련비 정산 및 평가
고용부(지방관서)심평원
지원사업공모
고용노동부
지원대학 및 운영기관 선정
지방관서
지원협정체결
대학·지방관서
사업실시
대학
이행상황 점검
지방관서
평가
한국고용정보원
구분 | 인문계 특화과정 | ||
---|---|---|---|
단기과정 | 장기과정 | 창직과정 | |
대상 | 재학생 | 재학생(졸업예정자) | |
인문ㆍ사회ㆍ예체능계열 50% 이상 참여의무 | |||
교육시수 | 200시간 이내 | 600시간 내외 | 평균 300시간 내외 |
특징 | 단기 기초예비과정(교육+현장체험, 200시간 이내)을 통해 다양한 직무이해와 기초직무훈련을 제공 | 인문계 친화직종 중심의 통합연수프로그램(교육+현장실습+멘토링, 600시간 내외) 제공을 통해 인문계 등 비전공자에게 다양한 분야의 경력개발 기회 제공으로 취업 역량 강화 | 문화ㆍ예술ㆍ콘텐츠 분야 등에서 창조적인 활동(300시간 내외)을 통해 취업ㆍ창업ㆍ창직으로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발굴하여 프로그램 제공 |
고용노동부
- 기본 정책방향 결정
- 사업운영에 필요한 사항 지도관리
한국산업인력공단
- 청년취업아카데미사업 세부계획 수립
- 운영기관 모집 및 심사
- 운영기관과 약정체결
- 운영상황 관리감독
- 지원금 지급 관리
- 운영기관 사업성과 평가
- 창작어워드, 우수사례 발굴 확산등 홍보
운영기관
(기업·사업주단체·대학·민간훈련기관)
- 취업지원 네트워크 구성(참여기업, 대학과의 협약체결)
- 사업계획(제안)·심사, 운영위원회 구성운영
- 참여자모집·선발, 아카데미 운영(멘토지정운영등)
- 월별 운영상황보고, 실적보고
- 연수생 경력관리 및 사후 관리 등
[ 연수과정 ] 연수 및 취업·컨설팅 지원
[ 창작과정 ] 참여자 개인별 창작역량 진단 및 평가, 온·오프라인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
사전진로탐색
- 청년취업성공패키지의 참여를 통한 진로검사 및 상담
고용센터, 대학창조일자리센터 방문 등을 통한 진로상담
과정 신청
- 운영기관 또는 일경험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그램 신청
연수 진행
- 산업, 기업에 대한 이해 및 특강 프로그램 진행
- 중소기업 현장방문 등 기업 체험
- 청년고용정책 안내, 프로젝트 발표 및 취업전략 수립 등
※ (프로그램 내용) 미래 유망산업 종류, 전망 등 특강, 신성장 유망 산업분야 기업 체험, CEO 특강, 취업성공 사례, 연수 참여자 간 팀 프로젝트 수행 등
과정정 신청 및 모집
참가를 희망하는 연수생 또는 기업은 운영기관을 통해 사업 참여신청
학생·체험기관 매칭 등
운영기관은 학생·체험기관 발굴·매칭 및 지원약정체결, 참여학생 대상 사전 직무교육 등 실시
체험 진행
전담자 지정 및 학습프로그램운영 등 직무체험 실시, 운영상황 확인·지도
청해진 대학 (‘16~)
월드잡 접속
- 회원가입
- 로그인
마이페이지
- 이력서작성
- 저장 및 공개설정
지원내용 선택
희망 연수과정 선택
지원방법
[ 지원하기 ] 클릭
구직등록
구인요청
구직자, 사업주
재외공관에 구인요청 사실확인
한국산업인력공단
구직자모집
선발
한국산업인력공단
알선
한국산업인력공단
구서류심사, 면접, 합격결정
한국산업인력공단
근로계약체결
한국산업인력공단
비자발급등 출국지원
한국산업인력공단
월드잡 접속
- 회원가입
- 구직회원 등록
취업성공
취업인정기준부합
1차 장려금 신청
취업기간 1개월 후
2차 장려금 신청
취업기간 6개월 후
계 | 서울 | 부산 | 대구 | 인천 | 광주 | 대전 | 울산 | 경기 | 강원 | 충북 | 충남 | 전북 | 전남 | 경북 | 경남 | 제주 | 세종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55 | 28 | 11 | 5 | 8 | 5 | 3 | 2 | 29 | 8 | 7 | 10 | 9 | 9 | 8 | 9 | 3 | 1 |
상담
- 개별상담
- 집단상담 프로그램
- 취업정보 제공
직업교육훈련
- 전문기술, 기업맞춤형, 취약계층과정 등 교육
- 새일역량교육
취업연계
- 구인구직매장
- 인턴십 연계
- 동행면접 등
사후관리
- 취업자상담 및 멘토링
- 여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(양성평등교육, 환경개선지원 등)
광역 | 기초 | 운영기관 | 연락처 |
---|---|---|---|
서울특별시 | 고령사회고용진흥원 | 02-3675-7179 | |
동행연우회 | 02-475-5756 | ||
상상우리 | 02-775-3352 | ||
새롬워크개발원 | 02-6277-2580 | ||
한국에프피에스비 | 02-3276-7683 | ||
한국비서협회 | 02-702-4048 | ||
한국직업상담협회 | 02-584-3657 | ||
(사)한국진로직업개발원 | 02-579-5120 | ||
함께만드는세상 | 02-2280-3392 | ||
희망도레미 | 02-365-9112 | ||
서울시 노원구 | 노원50플러스센터 | 070-7700-8752 | |
서울시 서대문구 |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 | 02-363-3930 | |
서울시 동작구 | 동작50플러스센터 | 02-2169-8705 | |
서울시 구로구 | 구들짱 | 02-860-3157 | |
서울시 영등포구 | 영등포50플러스센터 | 070-4454-1629 | |
부산광역시 | 다사랑복합문화예술회관 | 051-891-1743~5 | |
(사)문화콘텐츠개발원부산지원 | 1688-5759 | ||
사회공헌정보센터 | 051-502-4455 | ||
부산시 동구 | (사)삼성희망네트워크 | 051-961-8882 | |
부산시 해운대구 | 인천사회사업재단 | 051-782-5005~7 | |
부산시 북구 | 금곡종합사회복지관 | 051-365-2211 | |
부산시 부산진구 | (사)문화콘텐츠개발원부산지원 | 1688-5759 | |
대구광역시 | 대구경영자총협회 | 053-565-8781 | |
대구시 동구 | (사)대구경북고용복지연구원 | 053-955-1953 | |
대구시 중구 | 남산종합사회복지관 | 053-254-2562 | |
대구시 달서구 | (사)벤처기업협회대구경북지회 | 053-721-6895 | |
대구시 서구 | 서구제일종합사회복지관 | 053-353-8310 | |
인천광역시 | 사회적협동조합 일터와사람들 | 032-715-7851 | |
인천시 부평구 | 사회적협동조합 일터와사람들 | 032-715-7851 | |
인천시 계양구 | 사회적협동조합 일터와사람들 | 032-715-7851 | |
광주광역시 | (사)광주광역시곰두리봉사회 | 062-222-5556 | |
(재)광주복지재단 효령노인복지타운 |
062-603-9820 | ||
광주사회적기업협의회 | 062-374-8280 | ||
광주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| 062-950-3586 | ||
광주 북구 | (사)지역미래연구원 | 062-225-5751 | |
(사)대동문화재단 | 070-4496-5509 | ||
광주 남구 | (사)지역고용정책연구원 | 062-652-2070 | |
광주 동구 | 아시아문화진흥원 | 062-223-0131 | |
(사)아름다운세상 대해복지회 | 062-234-2213 | ||
광주시 서구 |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| 062-383-1136 | |
대전광역시 | (사)국제문화교류단 | 042-485-8211 | |
대전 동구 | 대전동구시니어클럽 | 042-632-8505 | |
대전시 서구 | (사)행복한 동행 | 042-487-3480 | |
대전시 유성구 | (주)글로벌 리더십센터 | 042-826-0828 | |
울산광역시 | 울산양산경영자총협회 | 052-277-9985 | |
울산시 북구 | 사회적협동조합 울산사회적경제지원센터 | 052-700-6176 | |
울산시 중구 | 사회적협동조합 울산사회적경제지원센터 | 052-267-6176 | |
울산시 울주군 | 사회적협동조합 울산사회적경제지원센터 | 052-700-6176 | |
세종특별자치시 | ㈜휴먼에듀피아 | 044-868-3651 | |
경기도 | 고령사회고용진흥원 | 031-928-5046 | |
복지네트워크협의회 유어웨이 | 02-738-9776 | ||
새롬워크개발원 | 02-6277-2580 | ||
경기 고양시 | 고양시자원봉사센터 | 031-925-9801 | |
경기 안산시 | 복지네트워크협의회 유어웨이 | 02-738-9775 | |
경기 수원시 | 수원시실버인력뱅크 | 031-251-6565 | |
경기 부천시 | (사)지역일자리창출진흥원 | 032-223-2332 | |
경기 양평군 | 양평군종합자원봉사센터 | 031-775-1365 | |
강원도 |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리본 | 033-256-8829 | |
충청북도 | 충청북도 사회복지협의회 | 043-234-0840 | |
충북 청주시 | 청주시사회복지협의회 | 043-267-0866 | |
충북 충주시 | 함께하는사람들 | 043-857-0223 | |
충북 진천군 | 진천군자원봉사센터 | 043-533-8897 | |
충청남도 | 인생이모작지원센터 | 041-635-1077 | |
충남 천안시 | 백석대학교 산학협력단 | 070-7733-8324 | |
전라북도 | 일드림사회적협동조합 | 063-255-9112 | |
전북경영자총협회 | 063-282-3394 | ||
전북 전주시 | 전주시노인취업지원센터 | 063-227-0857 | |
전북 김제시 | (사)김제시생활문화예술동호회네트워크 | 063-546-3907 | |
전라남도 | 전남 광양시 | ㈜액티브시니어 | 061-761-8777 |
전남 목포시 | ㈜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 상리사회복지관 | 061-274-0068 | |
전남 여수시 | 쌍봉종합사회복지관 | 061-681-7179 | |
경상북도 | (사)가경복지센터 | 054-773-5002 | |
경북 경주시 | (사)가경복지센터 | 054-773-5002 | |
경북 구미시 | 경북경영자총협회 | 054-461-5522 | |
경북 안동시 | (사)지역사회적경제허브센터 | 054-843-8532 | |
경남 창원시 | 경남종합사회복지관 | 055-298-8600 | |
(주)교육과비전 | 055-264-0082 |
사업운영계획수립
고용부
운영계획서 및 예산교부 신청
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
사업수행
중장년일자리 희망센터
사업수행 결과 평가
고용부
운영기관명 | 소재지 | 연락처 |
---|---|---|
노사발전재단 서울센터 |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30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빌딩 6, 7층 | 02-6021-1144 |
노사발전재단 금융센터 |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30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빌딩 6, 7층 | 02-6021-1334 |
노사발전재단 서부센터 |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23길 29 키콕스벤처센터 3층 | 02-2069-6761 |
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|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FKI타워17층 | 02-6336-0615 |
한국무역협회 |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511 한국무역협회 301호 | 02-6000-5315 |
(사)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 |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63, 2층(장교동, 장교빌딩) | 02-2004-7340 |
노사발전재단 인천센터 | 인천시 남동구 남동대로 215번길 30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5층 | 032-260-3806 |
고양상공회의소 |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1275번길 38-31 | 031-969-5817 |
파주상공회의소 | 경기 파주시 중앙로 328 MH타워 | 031-8071-4245 |
경기북부상공회의소 | 경기 의정부시 시민로 49, 2층(가능동, 신동아파라디움) | 031-855-3232 |
노사발전재단 경기센터 |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광로 149 안동빌딩 3층 | 031-8014-8510 |
안산상공회의소 | 경기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20 | 031-410-3030 |
평택상공회의소 | 경기 평택시 평택로 149 | 031-655-5813 |
노사발전재단 강원센터 | 강원 원주시 시청로 1 원주시청 2층 | 033-735-0968 |
노사발전재단 부산센터 | 부산시 연제구 중앙대로 1080 재능빌딩 10, 11층 | 051-860-1321 |
부산경영자총협회 | 부산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00 양정타임스퀘어 12층 | 051-647-0453 |
경남경영자총협회 |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754 | 055-266-8317 |
(사)한국커리어 | 경남 통영시 광도면 죽림1로 69, 2층 경남 거제시 서문로5길 6 우형빌딩 3층 |
055-650-1877 055-730-1971 |
노사발전재단 울산센터 | 울산시 북구 산업로 1016 1층 | 052-289-8971 |
양산울산경영자총협회 | 울산시 남구 대학로 60 A동 3층 | 052-277-9491 |
노사발전재단 대구센터 | 대구시 중구 국채보상로 648 우리병원 7층 | 053-550-3001 |
경북동부경영자협회 | 경북 포항시 남구 시청로 8 | 054-278-5141 |
경북경영자총협회 | 경북 구미시 백산로118 구미고용복지+센터 3층 | 054-461-5522 |
광주경영자총협회 | 광주시 북구 금남로121 광주고용복지+센터 1층 | 062-654-3431 |
노사발전재단 제주센터 |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165 상록회관 3층 | 064-710-4501 |
노사발전재단 광주센터 | 광주시 북구 금남로 교보빌딩 4층 | 062-531-5712 |
노사발전재단 전주센터 |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전북도청 2층 | 063-280-4771 |
목포상공회의소 | 전남 목포시 평화로5 목포고용복지+센터 2층 | 061-247-5060 |
전남경영자총협회 | 전남 순천시 우석로 7 청암대학교 건강복지관 2층 | 061-741-0096 |
노사발전재단 대전센터 | 대전시 서구 탄방동 교원공제회관 15층 | 042-489-3820 |
대전경영자총협회 | 대전시 중구 계백로 1712 기독교연합봉사회관 6층 | 042-253-7051 |
충북경영자총협회 | 충북 청주시 흥덕구 대신로132, 청주산업단지 비즈니스센터 5층 | 043-221-1390 |
충남북부상공회의소 | 충남 아산시 배방읍 배방로 22(삼영빌딩 5층) | 041-559-5763 |
사업운영계획수립
고용부
운영계획서 및 예산교부 신청
고령자인재은행
사업 수행
고령자인재은행
사업수행 결과 평가
고용부
지역 | 기관명 | 소재지 | 연락처 |
---|---|---|---|
서울(8) | 서울특별시중부여성발전센터 |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35길 17 | 02-719-6303 |
서울특별시서부여성발전센터 | 서울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371 | 02-2607-8794 | |
북부종합사회복지관 |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 245길 56 | 02-3391-2217 | |
중계종합사회복지관 | 서울시 노원구 덕릉로 662 | 02-952-0336 | |
생명의전화 종합사회복지관 | 서울시 성북구 호패산로 21 | 02-916-9193 | |
서울북부여성발전센터 |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207길 50 | 02-3399-7638 | |
동작종합사회복지관 | 서울시 동작구 등용로 47 | 02-824-7082 | |
서울특별시남부여성발전센터 | 서울시 금천구 독산로 50길 23 | 02-867-8219 | |
경기(4) | 의정부YWCA | 경기 의정부시 신곡2동 762-2 | 031-853-6332 |
남양주YWCA |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97번길 7-2 | 031-577-7762 | |
수원YWCA | 경기 수원시 장안구 정자천로 134번길 34 | 031-252-5111 | |
평택YWCA | 경기 평택시 평택5로 65(비전2동) | 031-651-7797 | |
강원(4) | 춘천YWCA | 강원 춘천시 중앙로 14 | 033-254-4878 |
강릉YWCA | 강원 강릉시 수리골길 27 | 033-636-3525 | |
속초YWCA | 강원 속초시 번영로 184 | 033-651-1385 | |
원주YWCA | 강원 원주시 천사로 190 | 033-742-6090 | |
부산(4) | 부산진여성인력개발센터 | 부산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00 양정타임스퀘어 12층 | 051-807-7944 |
동래여성인력개발센터 | 부산시 동래구 충렬대로126번길 5 | 051-503-8944 | |
해운대여성인력개발센터 | 부산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575 | 051-702-9198 | |
실버벨노인복지관 | 부산시 북구 시랑로 114번길 45 (구포동) | 051-343-5664 | |
경남(3) | (사)경남고용복지센터 | 경남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450 | 055-261-8523 |
양산YWCA | 경남 양산시 삼일로 67 | 055-367-1144 | |
진주YWCA | 경남 진주시 동진로 263번길 14 | 055-753-6133 | |
울산(1) | 울산YWCA | 울산시 남구 삼호로 81 | 052-247-3523 |
대구(1) | 달구벌여성인력개발센터 | 대구시 서부 달구벌대로 337길 9 | 053-285-1331 |
경북(4) | 포항YWCA | 경북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58 일선빌딩 3층 | 054-274-4444 |
한국산업단지공단 대경권본부 | 경북 구미시 수출대로 127 | 070-8895-7714 | |
영주시종합사회복지관 | 경북 영주시 대학로 130-1 | 054-635-4562 | |
안동YMCA | 경북 안동시 은행나무로 101 | 054-858-8219 | |
광주(2) | 광주YWCA | 광주광역시 북구 중가로 43 | 062-609-1357 |
노동실업광주센터 |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31-3 (3층) | 062-224-4139 | |
전남(3) | 목포YWCA | 전남 목포시 영산로 139 | 061-242-1611 |
순천YWCA | 전남 순천시 서문로 6 | 061-744-9004 | |
여수YWCA | 전남 여수시 동문로 120 | 061-665-5060 | |
전북(4)) | 전주YWCA | 전북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98 | 063-224-5501 |
원광효도마을시니어클럽 | 전북 익산시 선화로 259 제일빌딩 2층 | 063-833-0334 | |
익산YWCA | 전북 익산시 평동로 649 | 063-857-8911 | |
군산노인종합복지관 | 전북 군산시 둔배미길 29 | 063-446-7574 | |
충남(2) | 세종YWCA |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새내12길 35 | 044-862-0873 |
천안YWCA | 충남 천안시 동남구 다가말 2길 39 | 041-578-5863 | |
충북(2) | 충주YWCA | 충북 충주시 천변로 163 (교현동) | 043-845-1929 |
제천YWCA | 충북 제천시 내토로 510 (화산동) | 070-7116-6775 | |
제주(2) | 제주YWCA |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무로 11길 3 | 064-724-2419 |
서귀포YWCA |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부두로 3 | 064-762-1400 |
구분 | 지원금액 | |
---|---|---|
훈련생 | 훈련준비금 | 40,000원/6일 이상 출석 시 |
일비 | 17,000원/1일 | |
숙박비 | 10,000원/1박 | |
사업주보조금 | 19,340원/1일 | |
직무지도원 수당 | 외부 50,000원/1일, 사업체근로자 25,000원/1일 |
대상자(사업체)발굴
구직·구인상담
대상자(사업체)선정
직무배치
(사업체)
지원고용
취업 협의
구분 | 훈련생 1인당 지급기준 | ||
---|---|---|---|
훈련수당 | 훈련참여수당 | 월 20만원 (취업성공패키지 28.4만원) | |
훈련장려금 | 교통비 | 월 5만원 | |
식비 | 월 6.6만원 | ||
교사수당(공공훈련기관에 한함) | 훈련생 1인당 2만원(최고 10만원 한도) |
취업성공패키지
1단계 (진로설계)
공단
1월 이내
취업성공패키지
2단계
[입학평가·상담]
공단 직업능력개발원,
발달·청각센터
연중수시
취업성공패키지
2단계
[훈련실시]
직업능력개발원,
발달·청각센터
2년 이내
취업성공패키지
2단계
[수료]
직업능력개발원,
발달·청각센터
취업성공패키지
3단계 (집중 취업알선)
공단 지사
3월 이내
맞춤훈련 약정체결
공단 직업능력개발원, 맞춤센터↔맞춤훈련 사업체
연중 수시
훈련생 모집·선발
맞춤훈련 사업체
1차 면접
훈련실시
공단 직업능력개발원, 맞춤훈련센터
1년 이내
수료 및 취업
맞춤훈련 사업체
최종면접
사후관리
공단 직업능력개발원, 맞춤훈련센터
장애인고용공단 공모
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신청서 제출
훈련기관 → 공단지사
서류검토 및 현장확인
공단지사
직업훈련지원 협의회 심의․의결
공단지사
훈련기관 선정
공단지사 → 훈련기관
훈련수당 신청
훈련기관→공단지사
서류검토 및 확인
공단지사
훈련수당 지금
공단지사→훈련생
훈련수당 신청
훈련기관→공단지사
서류검토 및 확인
공단지사
훈련수당 지금
공단지사→훈련생
구분 | 지원대상 | 지원요건 | 지원내용 |
---|---|---|---|
1단계 (상담 및 취업계획) |
구직장애인 | - 초기상담 및 직업평가 실시 - 심층상담 포함 2회이상 상담실시 - 개인별 취업활동계획(IAP)수립 |
- 지원요건 모두 충족 시 참여수당 15만원(1단계 필수) 지급 |
집단 상담프로그램 희망자(선택) | 집단상담프로그램 및 취업특강 이수 | 추가 참여수당 5만원 또는 10만원 지급 | |
2단계 (직업훈련) |
1단계 기본요건 충족 장애인 | - 장애인 직업훈련(전용반 운영) -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(지원고용 등) - 내일배움카드제 훈련 연계 |
- 기준 훈련일수 1일당 18,000원(월 최대 284,000원) 지급 - 최대 12개월 지급 |
3단계 (취업알선) |
- 1단계 기본요건 충족 장애인 - 2단계 수료 장애인 |
구직활동 계획 수립 후 이행 시 - 만18세이상 34세이하 청년 |
구직촉진수당 월 30만원 지급(최대3개월) |
취업성공 후 3개월 근속유지 | 취업성공수당 30만원 지급 | ||
취업성공 후 6개월 근속유지 | 취업성공수당 40만원 지급 | ||
취업성공 후 12개월 근속유지 | 취업성공수당 80만원 지급 |
* 직업능력개발원 및 발달장애인훈련센터 정규훈련(일반, 특성화훈련)과 민간훈련은 장애인취업성공패키지 1단계 수료자에 한하여 참여 가능
취업성공 패키지 신청
수행기관(2월말)
[1단계]
상담·취업계획수립
장애인고용공단
[2단계]
직업능력향상
공단, 훈련기관
[3단계]
집중 취업알선
장애인고용공단
취업후 사후관리
장애인고용공단
구분 | 자격요건 | |
---|---|---|
청년 | (공통) ○ 만 18세 이상 ~ 만 40세 미만(주민등록상 '79.1.1. ~'01.12.31. 출생자)의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 ○ 사업신청일 기준 미취업자 ○ 법인과 계약한 근무 기간(최소 3개월) 동안 인턴 활동이 가능한 청년 ○ 재학생인 경우, 학교 휴학자 또는 마지막 학기 재학 중으로 졸업 이후 취업 활동이 가능한 청년 * 단, 방송·통신·사이버·야간 학교 등 온라인 교육이 주된 학교에 재학 중인 청년은 참여 가능 |
|
농업법인 등 | 농업 법인 | (공통) ○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한 농업법인 ○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지원요건(붙임1)에 충족하는 농업법인 ○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회계 관리를 실시한 농업법인 ○ 4대 보험이 가입(고용, 산재, 건강, 국민)된 농업법인 ○ 법인설립 후 운영 실적이 2년 이상인 농업법인 * 단, 스마트팜 농업법인, 독립경영예정자 실무수습 요청 농업법인, 청년농업인* 또는 선도농업인**이 농업법인 대표로 있으면서 실질적으로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면, 운영실적 1년 이상인 경우도 가능 |
○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요건을 갖춘 농업법인 - 직전년 2년 평균 매출액 5억원 이상 - 상시종사자 5인 이상 - 전업농 경영규모 기준표의 전업농 이상의 경영규모(붙임2 참고) * 단, 스마트팜 농업법인, 독립경영예정자 실무수습 요청 농업법인, 청년농업인* 또는 선도농업인**이 농업법인 대표로 있으면서 실질적으로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면, 해당 요건 미적용 |
||
사회적 경제 조직 | (공통) ○ 사회적협동조합 및 사회적 농업 실천조직 법인 운영 실적이 1년 이상 |
|
○ 「협동조합 기본법」에 따른 협동조합 중 농식품부에서 인가를 받아 설립된 사회적협동조합 | ||
○ 농식품부에서 선정한 사회적 농업 실천조직 | ||
<전년도 참여 법인> ○ 전년도 채용희망 인원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별도 신청 없이 사업대상자로 인정 - 법인의 총 채용인원은 전년도 채용인원 포함 3명으로 제한 * 예시) 전년도 인턴채용 2명 → 금년도 1명 인턴채용 가능 ○ 전년도 총 채용 인턴 수(3명)를 충족한 법인은 인턴 수료자의 정규직 전환이 2명 이상인 경우 사업대상자로 인정 - 인턴 수료자의 정규직 전환 사실 확인(정규직 근로계약서 및 4대보험 가입자 명부 제출) 후 추가신청 가능 * 예시) `18년도 인턴채용 3명 중 2명 정규직 전환 → `19년도 인턴채용 2명 가능 `18년도 인턴채용 3명 중 3명 정규직 전환 → `19년도 인턴채용 3명 가능 |
* 청년농업인 : 사업시행년도 1월1일 기준으로 만18세이상∼만40세 미만인 농업인
** 선도농업인 : 농식품부가 선정한 신지식농업인과 농업마이스터, 농식품부 지정 현장실습장
구분 | 자격요건 |
---|---|
청년 | ○ 농업법인 취업지원 사업을 과거에 지원받은 자(중복지원 불가) |
○ 정부․지자체의 유사사업(인건비 지원) 지원대상자 | |
○ 허위,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인해 농업법인 취업지원 사업 선정이 취소된 자 | |
○ 사업신청일 현재 사업자등록 중인 자 | |
○ 병역법에 따라 특례근무 중인 자 | |
○ 직접일자리사업 중복참여 또는 반복참여 제한 | |
농업 법인 등 | ○ 국세, 지방세 체납으로 제재 중인 농업법인 등 |
○ 과거 고의적 지침 위반, 불이행 또는 부정수급 등에 대한 제재 조치가 이루어진 농업법인 | |
○ 농업법인 취업지원 사업을 자진포기한 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농업법인 등 | |
○ 농림사업자금의 부당사용으로 인해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제79조에 따른 지원제한 처분을 받고 해당기간*이 경과하지 않은 농업법인 등 * 부당사용금액(농림사업 제한기간) : 5억원 이상(5년), 3억원~5억원 미만(4년), 5천만원~3억원 미만(3년), 2천만원~5천만원 미만(2년), 2천만원 미만(1년) | |
○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제79조에 따른 지원제한 처분을 3회 이상 받은 농업법인 등 |
구분 | 자격요건 |
---|---|
청년 | <취업취약계층> ① 저소득층(기준 중위소득 65% 이하, 단 1인 가구는 기준 중위소득 120% 이하) ② 장애인 ③ 6개월 이상(구직신청일 기준) 장기실직자(청년은 최근 6개월 이내 교육기관 재학생이 아니면서 사업장에 고용된 사실도 없는 자) ④ 결혼이민자 ⑤ 북한이탈주민 ⑥ 위기청소년 ⑦ 여성가장 ⑧ 성매매 피해자 ⑨ 한부모가족 지원법에 의한 보호대상자 ⑩ 갱생보호대상자 ⑪ 수형자로서 출소 후 6개월 미만 자 ⑫ 노숙자 |
농업 법인 등 | 1순위. 청년농업인이 대표인 농업법인, 독립경영예정자 실무수습 요청 농업법인, 사회적 경제조직 2순위. 선도 농업법인, 스마트팜 시설을 보유한 농업법인
<스마트팜 시설 보유 농업법인> ICT(정보통신기술)를 온실·축사 등에 접목하여 스마트폰, PC를 통해 원격·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 ① 생육환경 유지관리 SW(온실·축사 내 온습도, CO2수준 등 생육조건 설정) ② 환경정보 모니터링(온습도, 일사량, CO2, 생육환경 등 자동수집) ③ 자동·원격 환경관리(냉·난방기 구동, 창문개폐, CO2, 영양분·사료 공급 등) 3순위. 직전년도 매출액이 높은 농업법인 |
구분 | 제출서류내용 | |
---|---|---|
청년 | 필수서류 (사업신청 시) |
○ 사업신청서 |
○ 정보제공동의서 | ||
○ 직접일자리사업 개인정보 사용 동의서 | ||
추가 제출서류 (근로계약 시) * 농업법인에서 자격 확인 후 농정원에 자료제출 |
○ 청년 본인의 가족관계증명서(생년월일만 제출) | |
○ 최종학력 졸업증명서 * 휴학생인 경우 휴학증명서, 졸업예정자인 경우 졸업예정증명서 제출 |
||
○ 사업자등록사실여부 사실증명서 : 공고일 이후 발행 * 홈텍스 : 신청/제출 → 사실증명신청 → 사업자등록사실여부 |
||
○ 남성의 경우, 병적증명서 : 공고일 이후 발행 * 홈텍스 상 병적증명서 발급가능(용도 : 취업, 모든 항목 : “기재”, 군경력 미포함) |
||
법인 및 사회적 경제 조직 | 필수서류 (사업신청 시) |
○ 사업신청서 |
○ 농업법인 취업지원사업 이행확약서 | ||
○ 정보제공동의서 | ||
○ 법인등기부등본(등기사항전부증명서) : 공고일 이후 발행 | ||
○ 사업자등록증 | ||
○ 농업경영체증명서 : 공고일 이후 발행 | ||
○ 최근 2년 재무제표 : 세무서 또는 국세청 발급분 * 청년농업인이 대표인 경우, 작년도 재무제표 제출 |
||
○ 최근 2년 납세, 근로소득세 완납증명서 * 청년농업인이 대표인 경우, 작년도 완납증명서 제출 |
||
○ 4대보험 가입증명서(가입자 명부포함, 사업신청 시, 고용계약 시 2회 제출) | ||
우선 선정 증명 (사업신청 시) | ○ 청년농업인이 대표인 농업법인 : 법인 등기부등본 상 기재된 대표자의 가족관계증명서, 농업인확인서(또는 농업경영체증명서) * 농업인 확인서는 제출일 이전 3개월 이내 발급된 경우에 한정하며(농업인 확인서 발급규정 제6조), 농업경영체증명서는 공고일 이후 발행한 사항에 대해서만 인정 ○ 사회적 경제조직: 사회적 협동조합 인가증 또는 사회적 농업 실천조직 선정 관련 증명서류 ○ 스마트팜 시설 보유 농업법인: 국가 또는 지자체 보조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경우 ‘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별표7에 따라 설치한 <준공 후 안내문>의 사진, 그 외의 경우 복합환경제어기(복합환경제어시스템) 생산자와의 계약체결서 또는 제어기 구매영수증 ○ 선도농업법인 : 신지식농업인 증서, 현장실습장 인증서, 농업마이스터 지정서 |